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옐로우나이프
- 남미
- 간단한 반찬
- 빅토리아 데이
- 국 끓이기
- 악마의 목구멍
- 남미 여행
- 고기
- 우유니
- 채소
- 오븐
- 된장
- 캐나다
- 압력밥솥
- 옐로우나이프 낮
- 반찬
- 간장
- 빅토리아 데이 행사
- 해밀턴 갈만한 곳
- 캐나다1년
- 꿀
- 캐나다 학교
- 메이플 시럽
- Victoria day
- 가지
- 불꽃놀이
- 캐나다1년살기
- 된장국
- 트레일
- 마늘
Archives
- Today
- Total
캐나다에서 1년 살기
트래킹은 그릿지수를 높인다(?) 본문
아카디아 국립공원에서 트래킹을 한 개 하고서 남편이 이야기했다.
이제 정말 아카디아 국립공원을 제대로 느끼는 것 같다고.
우리는 국립공원에 되도록 여러 날을 잡고 많은 시간 머물며 그 안의 다양한 트레일을 걸어보는 것을 좋아한다.
구석구석 국립공원의 다양한 모습을 땀 흘리며 보면서 그 국립공원의 면모를 보는 것은 참 매력적이다.
최근 ‘그릿’이라는 것에 대해 알게 되었다.
하버드 대학에서 연구를 했다.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점, 그들이 성공하는데 영향을 미친 것이 무엇일지에 대해서..
실험은 런닝머신을 5분 동안 뛰는 것이었고,
그 후 추적을 해서 성공한 사람들을 조사를 했다.
그들이 가진 공통점은 바로 런닝머신에서 뛸 때 더이상 뛰기 힘든 그 순간이 왔을 때 서 너 발자국 발을 더 뗀 것이었다.
그것이 바로 ‘그릿’ 점수라는 것이다.
그릿 지수를 높이려면 작은 목표를 설정하고 그것을 이루어내는 것을 많이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했다.
나는 그 글을 읽으며 우리의 트래킹이 떠올랐다.
몇 시간 짜리 코스이든 트레일을 시작하면 그 길을 돌아와야만 하니, 중간 중간 힘들어도 결국 그 트레일길을 걸어내곤 하니까 말이다.
트래킹을 하면 그릿 지수가 높아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한 트레일을 완주하는 것이 한 번의 작은 성공이 될테니까 말이다.
아이들이 어떤 일을 하든, 그 안에서 그 일을 잘하는 밑거름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니 그렇지 않아도 참 좋은 트래킹이 더 좋게 느껴진다.
'보고 느끼는 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들이 컸다는 것이 감동으로 느껴진 하루 (0) | 2019.08.10 |
---|---|
괴물놀이하며 산책하기 (0) | 2019.08.09 |
요리를 하는 아이들 (0) | 2019.07.24 |
더위를 만나다 (0) | 2019.07.21 |
여행 중 타의로 인한 쉼표-여행 중 비가 온다는 것 (0) | 2019.07.19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