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에서 1년 살기

(아이들에게 듣는 캐나다 학교 이야기) 노력하는 둘째, 체육 활동이 한참인 학교 본문

보고 느끼는 에세이

(아이들에게 듣는 캐나다 학교 이야기) 노력하는 둘째, 체육 활동이 한참인 학교

글이살다 2019. 5. 22. 06:01

 지난주에 학교 가기 싫다고 걱정을 했었던 둘째가 오랜만에(빅토리아 데이로 3일 동안의 긴 연휴를 가진 후 갔다.)학교를 다녀와서 말을 했다. "엄마 오늘은 학교에서도 스쿨버스에서도 영어를 더 많이 하려고 노력했어." 노력한 그 마음이 참 기특하고 고맙다. 이틀 동안 학교 가기 싫어했을 때 선생님을 찾아가서 상담을 해야 할지, 영어를 어떻게 도와줘야 할지 생각이 정말 많았는데.. 이젠 학교 가기 싫다고 이야기를 하지 않는 것도, 노력했다는 그 말도 참 감사하다. 역시 아이들은 금방 적응을 하는걸까? (물론 영어 실력이 금새 마법처럼 느는 것은 아닌 것 같다.)

 여기서 태어나 자란 아이들이나 또는 공부하러 유학 온 아이들 모두 아이들은 영어가 금새 는다는 이야기를 많이 듣는다.(아이들은 금방 적응한다.) 오히려 한국말 잊어버리지 않도록 잘 체크해주라는 말... 물론 1년은 영어를 배우기에는 짧다는 말도 듣는다. 뭐든 바로 옆에서 자주 보는 사람끼리는 변화하는 것을 잘 못느끼기는 하지만 아이이기에 언어를 배우기 유리한 것을 옆에서 보고 느껴보고 싶은 마음이 있다. 궁금한 호기심이기도 하고, 아이가 좀 더 영어를 얻어갔으면 싶기도 한 욕심이기도 한 것 같다. 

 오늘 우리 둘째는 친하게 지내는 친구의 말이 평소보다 더 잘 들렸다고 했다. 그 친구를 좋아해서 집중해서 들으니 평소보다 더 잘 들렸다고.. 부디 선생님 말씀도 그렇게 조금씩 조금씩 더 잘 들리면 좋겠다.

 학교는 지금 체육대회(?) 준비가 한참인 것 같다. 이번주 금요일에 체육활동을 해서..(각종 달리기, 멀리 뛰기 등등) 요즘 매일 연습을 하는 것 같다. 저학년인 둘째는 별 부담이 없는 것 같은데 첫째는 400m, 1500m뛰기 등 장거리 달리기가 있다보니 힘들기도 하고 부담이 되는 것 같다. 1500m라니.. 그 거리를 뛸 수 있는 체력이 있음에 감사하다. 

 우리는 체육대회(?)때 자원봉사로 참여하기로 했는데 무사히 임무를 완수하면 좋겠다. 학교 자원봉사를 3번 했는데 해야 할 일을 구체적으로 찾아내는 것과 사람들 이야기를 알아듣는 데 좀 어려움이 있었다. 무언가 이것을 해주라고 알려주는 친절한 사람들이 참 고마웠다. 무엇을 해야 하는지 파악하는 일이 제일 어려운 일이었어서.. 그래도 학교에 뭔가 도움을 주고 있다는 것과, 현지에서 생활하는 사람을 만나는 즐거움이 있다. 

 


Comments